최근 ‘후니의 쉽게 쓴 시스코 네트워킹’ 책을 읽고 네트워크 관리사 2급 자격증까지 준비하며 개인적으로 네트워크에 대한 공부를 꾸준히 하고 있습니다. 공부하는 내용들을 기록해두는 것이 나중에 도움이 될 것 같아서 해당 시리즈를 작성하고자 합니다.
먼저 확실한 건 이 시리즈는 저를 위한 시리즈입니다. 후니의 쉽게 쓴 시스코 네트워킹을 읽고 나서 분명 어느정도 네트워크 개념들을 다 이해했다고 생각했는데, 네트워크 관리사 2급을 준비하다보니 또 금방 개념들을 까먹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. 네트워크를 학부 시절부터 늘 공부해왔는데 유독 네트워크 개념들은 뒤 돌아서면 까먹게 되는 기분입니다. 왜 일까? 아마 늘 실습없이 개념들만 줄줄 외울려고 해서인 것 같습니다. 그래서 해당 시리즈에서는 Cisco Packet Tracer를 활용해서 실제 네트워크 환경을 구축해보며 네트워크 개념을 학습하고자 합니다.
1. 추천 독자: 누구를 위한 시리즈인가?
해당 실습 과정을 진행해보며 스스로 네트워크 개념이 좀 더 확실히 이해되는 경험을 했기 때문에 저와 비슷한 네트워크 지식을 가진 사람들에게 추천합니다. 즉, 아래와 같은 사람들에게 적합한 시리즈입니다.
- 네트워크 초보자: OSI 7계층이나 각 계층별 장치(허브, 스위치, 라우터 등)들을 암기하고는 있지만 정확한 개념을 잘 모르겠는 분들, 네트워크의 기초부터 시작해서 복잡한 구조를 순차적으로 이해하고 싶은 분들
- Cisco Packet Tracer 초보자: Cisco Packet Tracer를 사용해본 적이 없는 분들,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실습을 통해 직접 눈으로 확인해보고 싶은 분들
- 추상적으로 알고 있던 개념을 실습을 통해 학습해보고 싶은 분들: 늘 네트워크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고 얕게 암기하는 것에 지친 분들
2. 실습 개요 및 학습 목표
이 시리즈에서는 Cisco Packet Tracer를 활용하여 실제 네트워크 환경을 구축하고, 각 실습을 통해 네트워크의 핵심 개념들을 이해하며 나아갑니다. 단계별 실습을 통해 아래와 같은 목표를 달성할 수 있습니다.
- 네트워크 장비 구성 및 설정 방법: 라우터, 스위치, 허브, PC 등 다양한 네트워크 장비를 설정하고 운영하는 방법을 배웁니다.
- VLAN, 라우팅, 서브네팅 등 고급 네트워크 개념: 네트워크 설정과 VLAN, 트렁크, 서브인터페이스, 라우팅 프로토콜 등을 다룹니다.
- 네트워크 트러블슈팅: 실습을 진행하며 발생할 수 있는 네트워크 이슈를 확인하고 해결하는 과정도 포함됩니다.
- 보안 및 NAT/DHCP: 실습을 통해 네트워크 보안 및 DHCP, NAT 설정을 이해합니다.
3. 실습 과정 소개
이 시리즈는 총 13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, 각 단계는 실제 네트워크 환경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필수적인 네트워크 개념을 학습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. 단계별로 실습 목표와 함께 여러 기술들을 다루게 됩니다.
실습 단계와 각 단계별 핵심 네트워크 개념은 아래와 같습니다:
- 네트워크 없는 독립된 PC: 네트워크 개념의 기초, NIC(Network Interface Card)의 역할
- 두 대의 PC 직접 연결: 크로스 케이블(vs 다이렉트 케이블)과 IP 주소 설정의 기초
- 리피터를 사용하여 두 대의 PC 연결: 신호 감쇠와 리피터의 역할
- 허브를 사용하여 여러 대의 PC 연결: 허브의 역할 및 동작 방식과 브로드캐스트 트래픽
- 브리지를 사용하여 허브의 한계 극복: 브리지의 역할 및 동작 방식과 충돌 도메인(= 콜리전 도메인)
- 스위치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개선: 스위치와 MAC 주소 학습, 충돌 도메인 최적화
- 스위치 네트워크 확장 및 브로드캐스트 문제 확인: 브로드캐스트 스톰 개념과 대규모 네트워크 구성
- VLAN을 사용하여 스위치 네트워크 최적화: VLAN의 개념과 논리적 네트워크 분리
- 라우터를 이용한 VLAN 간 통신: Router on a Stick, Inter-VLAN Routing 개념
- 여러 네트워크를 연결하기 위한 라우팅 프로토콜 적용: 정적/동적 라우팅, RIP, OSPF 등의 라우팅 프로토콜
- NAT & DHCP 적용 및 외부 네트워크 연결: 공인 IP와 사설 IP, NAT 및 DHCP의 동작 원리
- ACL을 활용한 보안 설정 실습: 접근 제어 리스트(ACL) 개념과 네트워크 보안 설정
- DHCP & NAT 심화 실습 (자동 IP 할당 및 외부 네트워크 연결 고급 설정): DHCP 릴레이, NAT의 다양한 설정 방식
4. 이 시리즈를 통해 무엇을 얻을 수 있는가?
이 시리즈를 완료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:
- 네트워크 지식 향상: '단순한 네트워크 개념 암기가 아닌 이해를 목표로!' 실습을 통해 여러 주요 네트워크 개념들을 온전히 자기 것으로 만들 수 있게 됩니다.
- 네트워크 구축 능력 향상: 실제 장비 없이도 Packet Tracer에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설정하는 방법을 배우게 됩니다.
- 네트워크 개념의 깊은 이해: VLAN, 서브네팅, 라우팅, 트렁크 등 네트워크의 필수 개념을 실습을 통해 이해하고 자신감 있게 다룰 수 있게 됩니다.
- 트러블슈팅을 통한 네트워크 학습: 네트워크 문제를 파악하고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네트워크 지식을 키울 수 있습니다.
- Cisco 장비 이해: Cisco 장비의 설정 및 관리 방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. 이를 통해 Cisco 자격증 준비에도 도움이 됩니다.
5. 왜 Cisco Packet Tracer인가?
Cisco Packet Tracer는 Cisco 네트워크 장비를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무료 툴로, 실제 Cisco 장비 없이도 네트워크 환경을 구축하고 실습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. 이 툴을 사용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:
- 실제 환경과 유사한 시뮬레이션: Cisco 장비의 동작을 그대로 시뮬레이션하여 실전처럼 연습할 수 있습니다.
- 비용 부담 없음: 실제 장비를 구입할 필요 없이 무료로 제공되는 툴을 통해 학습할 수 있습니다.
- 네트워크 설계 및 트러블슈팅 연습: 복잡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,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까지 실습할 수 있어 효율적인 학습이 가능합니다.
- Cisco 자격증 준비: CCNA나 CCNP와 같은 Cisco 자격증 준비에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