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실습 목표
이번 실습에서는 네트워크가 연결되지 않은 독립적인 PC 환경을 구축하고, 네트워크가 없는 상태에서의 시스템 동작을 이해하는 것이 목표입니다. 이를 통해 네트워크가 없을 때의 한계를 확인하고, 이후 단계에서 네트워크가 추가되었을 때 어떤 변화가 생기는지 비교할 수 있습니다.
2. 실습 환경 및 요구사항
- Cisco Packet Tracer 설치 완료: [Cisco Packet Tracer] Cisco Packet Tracer란? 글 참고
- PC 1대 (Packet Tracer 내에서 장치 추가)
- 네트워크 장비 없음 (케이블, 스위치, 라우터 등 사용 금지)
3. 실습 과정
Step 1. Cisco Packet Tracer 실행
- Packet Tracer를 실행하고 새로운 네트워크 작업 공간을 엽니다.
Step 2. 독립적인 PC 추가
- 하단의 End Devices에서 PC를 선택하여 작업 공간에 배치합니다.
Step 3. PC 설정 확인
- PC를 클릭하여 설정 창을 엽니다.
- Desktop 탭에서 IP Configuration을 선택합니다.
- 현재 네트워크 연결이 없는 상태임을 확인합니다. (IP 주소가 없는 상태)
Step 4. PC 간 네트워크 테스트 불가능 확인
- PC의 웹 브라우저 실행 후 임의의 웹사이트(예: www.google.com)에 접속 시도 → 실패함을 확인합니다.
- Command Prompt에서 ping 테스트 (예: ping 8.8.8.8) → 네트워크가 없어 실패함을 확인합니다.
4. 실습 결과 및 검증
- ping 명령어 실행 시 응답 없음.
- 인터넷 브라우저를 실행해도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없음.
- 네트워크 연결 없이 단독으로 동작하는 PC는 외부 통신이 불가능.
5. 핵심 네트워크 개념 정리
- 네트워크란?
- 여러 장치들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연결된 시스템.
-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 공유, 인터넷 접속, 원격 작업 등이 가능함.
- 인터넷이란?
- 전 세계적으로 연결된 거대한 네트워크.
-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음.
- IP(Internet Protocol)란?
- 네트워크 상에서 장치가 서로를 식별하고 통신하기 위한 주소 체계.
- 공인 IP(인터넷에서 사용)와 사설 IP(내부 네트워크에서 사용)로 구분됨.
- MAC(Media Access Control) 주소란?
- 네트워크 장비에서 각 장치를 식별하는 고유한 물리적 주소.
-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카드(NIC)에 내장되어 있으며, 변경할 수 없음.
- NIC(Network Interface Card)란?
- 네트워크에 연결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장치.
- 유선(LAN) 또는 무선(Wi-Fi)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역할 수행.
- NIC는 MAC 주소를 가지며, 이를 이용해 네트워크에서 장치를 구별함.
- 독립적인 PC는 자체적으로 동작하지만, 네트워크 장비 없이 다른 장치와 통신할 수 없음.
- 네트워크 연결이 없으면 IP 주소 자동 할당 (DHCP) 및 인터넷 접속이 불가능함.
- ⭐️ 네트워크 필요성: 다른 장치와의 통신 및 인터넷 접속을 위해 반드시 네트워크 연결이 필요하다.
6. 결론 및 다음 단계
이번 실습을 통해 네트워크가 연결되지 않은 PC는 단독으로 동작할 뿐, 다른 장치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없음을 확인했습니다. 다음 실습에서는 두 대의 PC를 직접 연결하여 기본적인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지 실습해보겠습니다.